韩国农民放言:“用大麦喂养高品质韩牛,不怕与美国牛肉竞争”(1)

韩国农民放言:“用大麦喂养高品质韩牛,不怕与美国牛肉竞争”(1),第1张

韩国农民放言:“用大麦喂养高品质韩牛,不怕与美国牛肉竞争”(1),第2张

보리 먹인 고품질 한우, 미국 쇠고기 겁 안나요

곧 있으면 칠레산 포도가 밀려온다고들 해서 걱정이 태산이었죠. 그때 수박으로 재빨리 바꾼 게 들어맞았습니다.

충북 음성군 맹동면에서 수박을 재배하는 최창환(61) 씨는 4년 전만 해도 작은 포도 농가의 주인이었다.


2002년 한-칠레 자유무역협정(FTA)이 타결되면서 한 상자에 1만2000원씩 하던 포도값은 7000원까지 내려갔고 최 씨는 고민에 빠졌다.


이대로 주저앉아야 하나.


그는 어떤 작물이 외국산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를 연구한 끝에 수박을 생각해냈다. 포도는 보관이 쉬워 긴 시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하지만 수박은 오래 묵힐수록 국내 소비자들이 꺼린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이었다.


비닐하우스 열다섯 동에서 한 해 1만여 통의 수박을 생산하는 최 씨는 연소득이 1억 원이나 된다. 최 씨의 사례는 위기를 기회로 여기면 개방의 파고를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.


명품 농산물로 선제 대응


최 씨가 사는 맹동면은 10여 년 전에는 고추와 쌀 농가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젠 전체 농민의 80%(230여 농가)가 고품질 수박을 재배하는 명품 마을로 탈바꿈했다.


이 마을 수박의 경쟁력은 품질이 낮으면 시장에 팔지 않는다는 자부심에서 나온다.


농가에서 재배한 수박들은 출하 직후 농협이 운영하는 공동 선별장에서 당도를 측정한다. 여기서 맛이 일정 수준이 안 되면 이 지역의 수박 브랜드인 다올찬 수박이란 상표가 붙지 않는다.


홍보 전략도 뛰어나다. 농민들은 지난해 빨리 먹기 씨 멀리 뱉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수박축제를 열었다. 음성군은 인터넷으로 주문된 상품의 배송비를 일부 지원하고 있다.


좋은 제품만 선별하기 때문에 가격은 일반 수박보다 한 통에 20003000원씩 비싸다. 당도를 조금 낮추더라도 가격을 싸게 하면 더 팔리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농민들은 고개를 젓는다. 싸구려라는 이미지만 생기게 된다는 이유다.


FTA가 기다려지는 농민들


한미 FTA만 체결되면 미국 시장에서 일본 배도 충분히 제칠 자신이 있어요. 나도 한-칠레 FTA 할 때는 데모도 하고 했지만 결국 다들 이겨냈잖아요.


충남 아산시 음봉면에서 1만2000평 규모의 배 과수원을 운영하는 이민우(64) 씨의 목소리는 기대에 차 있었다.


미국 시장에 수출하고 있는 배가 일본 제품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판단 때문이다. 이 씨는 연간 10t의 배를 생산해 그중 2t가량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.


물론 어려움도 있다. 미국에서는 시고 부드러운 일본 배가 딱딱하고 단 맛이 강한 한국산보다 인기가 좋다.


이 씨는 미국에서 한국 배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교포들만 주로 구입하는 것이 약점이라며 시식회 등 현지 홍보만 충분히 된다면 얼마든지 해볼 만하다라고 말했다.


이처럼 농민들이라고 모두 한미 FTA를 시련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. 이는 한미 FTA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 축산업계도 마찬가지다.


전북 지역 축산농민 600여 명으로 구성된 전북한우협동조합은 총체보리(가축사료용 보리)를 먹인 한우를 수도권의 15개 전문 직판장에 내다팔고 있다.


중간 유통단계를 과감히 없애 가격은 일반 한우에 비해 30% 싼데다가 농촌진흥청과 함께 개발한 고급 사료를 사용해 품질을 업그레이드했다.


장성운 조합장은 미국 쇠고기가 들어와도 품질과 안전성으로 얼마든지 대응할 수 있다며 자신감 있게 말했다. 이 조합은 5월 중으로 브랜드 홍보를 위한 총체보리 한우 페스티벌을 열 계획이다.


농업 위기? 수출 기회!


특유의 예쁜 색깔 때문에 채소류의 보석으로 불리는 파프리카. 국내에서 이름조차 낯선 이 채소는 한국산이 일본 시장을 70%나 장악하고 있다.


과거 네덜란드산이 지배하던 일본 시장을 한국 농민들은 신선도를 내세워 공략했다. 일본과의 가까운 거리를 활용한 것이었다.


이 같은 명품 농산물의 수출 성공 사례는 한미 FTA 타결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.


최근 농수산물유통공사는 대미 수출확대방안 보고서에서 파프리카를 비롯해 새송이버섯과 녹차, 단감, 고추장소스 등 한국산 농산물 20종을 미국 수출이 유망한 품목으로 꼽았다.


전남 보성군 미력면에서 15년째 10만 평 규모의 녹차 밭을 가꾸고 있는 임화춘(54) 씨는 최근 전라남도 주최로 열린 수출상담회에서 만난 미국 바이어들에게서 긍정적 반응을 받아 한창 고무돼 있다.


임 씨는 녹차를 직접 키울 뿐 아니라 1000평 규모로 보성녹차테크라는 가공공장을 세워 물에 타 먹을 수 있는 녹차 농축액도 만들고 있다.


2005년부터 미국 수출을 시작한 그는 지난해 1억 원 정도의 녹차 농축액 앰플을 수출했다. 한미 FTA 타결로 시장이 개방되면 다른 녹차 제품의 수출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.


임 씨는 현재 5000만 원을 들여 미국 유기농협회를 통해 제품 인증을 받으려 하고 있다. 그는 유기농을 선호하는 미국 시장에서 팔리기 위해서는 비록 돈이 들더라도 이런 노력이 꼭 필요하다면서 이런 방면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말했다.

位律师回复
DABAN RP主题是一个优秀的主题,极致后台体验,无插件,集成会员系统
白度搜_经验知识百科全书 » 韩国农民放言:“用大麦喂养高品质韩牛,不怕与美国牛肉竞争”(1)

0条评论

发表评论

提供最优质的资源集合

立即查看 了解详情